본문 바로가기

쥔장 서평43

40. 영어의 달콤한 복수, <영어의 힘> 영어의 달콤한 복수 멜빈 브래그 지음, 김명숙, 문안나 옮김, (사이, 2019) 영어는 초기에는 소수가 사용하는 게르만어의 방언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금은 15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의 70퍼센트가 영어로 되어 있다. 그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막강한 파워를 지닌 언어가 되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우리말을 잃고 살아야 했던 것처럼, 영어도 한때 지독한 수난을 당한 적이 있었다. 1066년 10월 14일, 프랑스를 본거지로 한 노르망디의 윌리엄 공작 군대와 영국 왕 해럴드의 군대가 영국의 헤이스팅스에서 싸웠다. 영국이 이 전투에서 대패하면서 영어 또한 프랑스어에 패했다. 승리한 프랑스어는 영어를 파묻어버렸다. 노르만족은 프랑스어를 강요했다. 1066년 크리스마스에 윌리엄 .. 2019. 12. 19.
39. 목욕의 역사, <목욕, 역사의 속살을 품다> 목욕의 역사 캐서린 애셴버그 지음, 박수철 옮김, &lt;목욕, 역사의 속살을 품다&gt;(예지, 2010) 그리스 과학자 아르키메데스(기원전 287-212)는 부력의 원리를 발견한 뒤 ‘유레카!’라고 외치며 욕조에서 뛰쳐나왔다. 그리스인들이 목욕을 즐겼음을 보여주는 일화다. 로마인은 그리스 식 목욕.. 2019. 11. 27.
38. 인류는 모두 하나다.<인간에 관한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 인류는 모두 하나다 A.랑가네, J.클로트, J.길레느, D.시모네 저, 박단 역 &lt;인간에 관한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gt;(부키, 2007) 늘어나는 외국인 체류자, 국제결혼 그리고 혼혈아 출생 등 우리 사회 구성원의 구조가 급격히 변하고 있다. 혼혈과 피부색으로 인한 갈등의 골을 서둘러 치유하지 .. 2019. 11. 27.
37.대장촌, 일제의 쌀 수탈 현장, <봉인된 역사: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농민> 대장촌, 일제의 쌀 수탈 현장 윤춘호 지음, &lt;봉인된 역사: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농민&gt;(푸른길, 2017) 전북에 연고가 있거나 일제의 쌀 수탈에 역사적 관심을 갖는 독자라면 대단히 친근하게 느껴질 역사연구서다. 전북 익산군 춘포면 춘포리(대장촌) 지역이 연구 대상이다. 전북 .. 2019. 8. 29.
36.그들은 이렇게 제국 신민이 되었다, <제국대학의 조센징> 그들은 이렇게 제국 신민이 되었다 정종현 지음, (휴머니스트, 2019) 제국대학은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였다. 국가 통치를 위한 엘리트 육성을 목적으로 1886년 포고된 제국대학령에 근거하여 도쿄(東京, 1886)를 시작으로, 교토(京都, 1897), 규슈(九州, 1910), 홋카이도(北海島, 1918), 경성(京城, 1924), 다이호쿠(臺北, 1928), 오사카(大阪, 1931), 나고야(名古屋, 1939)의 순으로 모두 9개의 제국대학이 설립되었다. 이 중 경성제국대학과 다이호쿠제국대학은 조선과 대만에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의 모태이기도 한 경성제국대학은 한국사회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긴다. 경성제대 법문학부 1, 2회 졸업생인 유진오와 최용달이 각각 남한과 북한의 헌법을 기초하는데 핵.. 2019. 8. 29.
35.야나이하라와 일본의 양심세력, <개혁자들> 야나이하라와 일본의 양심세력 야나이하라 다다오 지음, 홍순명 옮김, &lt;개혁자들&gt;(포이에마, 2019)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 교수 야나이하라 다다오(矢内原忠雄, 1893-1961)는 &lt;중앙공론(中央公論)&gt; 1937년 9월호에 ‘국가의 이상’이란 글을 기고했다. 그는 이 글에서 국가의 이상은 대.. 2019. 8. 29.
34.혁명가 밀턴 <밀턴평전> 혁명가 밀턴 박상익 지음 &lt;밀턴평전&gt;(푸른역사, 2008) 장편서사시 &lt;실낙원&gt;을 쓴 시인으로 알려진 밀턴은 시인이기에 앞서 당대 일급의 논객이자 석학이었다. 어학에도 조예가 깊어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수많은 고전어는 물론이고 유럽 각국의 현대어에도 두루 능통했다. 특히.. 2019. 8. 29.
33.종교는 없지만 청렴한 나라, <신 없는 사회>(마음산책, 2012) 종교는 없지만 청렴한 나라 필 주커먼, &lt;신 없는 사회&gt;(마음산책, 2012) 미국의 사회학자 필 주커먼은 2005년 5월부터 14개월 동안 덴마크에서 살았다. 아내와 두 딸이 함께 했고, 그곳에서 아이가 하나 더 태어났다. 아이들은 덴마크 학교에 보내 교육시켰다. 하나의 사회를 충분히 이해하.. 2019. 8. 29.
32.대학이란 무엇인가, <대학의 몰락> 대학이란 무엇인가 서보명 지음, (동연, 2011) 미국 시카고 신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강의하는 서보명 교수가 한국 대학에 방문교수로 와있으면서 책을 펴냈다. 대학의 본질과 현실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고발한 그의 대학론에서 두 가지 흥미로운 주제를 살펴본다. 1. 한국 대학의 입학사정관제는 2007학년도 입시에서 처음 실시되었다. 기존의 정량적 평가 방식에서 정성적 평가 방식으로의 변화를 꾀한다는 명분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미국에서 이미 100년 전에 처음 시작된 이 제도의 배경을 아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20세기 초반 유대인 학생들이 우수한 성적만으로 미국 대학에 대거 입학하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유대인 학생들이 너무 많아서 대학의 전통적 색채가 깨진다는 졸업생과 학부모들의 반대가 극심해.. 2019. 8. 29.
31.중세 최대의 스캔들, 그리고 대학의 탄생, <하늘을 훔친 사랑>1, 2 중세 최대의 스캔들, 그리고 대학의 탄생 메리온 미드 지음, 김승욱 옮김, &lt;하늘을 훔친 사랑&gt;1, 2 (궁리, 2000)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던 중세 유럽에 살면서도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에 능통했던 여인, 그래서 소녀시절부터 ‘여자의 몸에 남자의 정신이 깃들어 .. 2019. 8. 29.
30.지옥에 떨어진 고리대금업자, <돈과 구원> 지옥에 떨어진 고리대금업자 자크 르고프 지음, 김정희 옮김, &lt;돈과 구원: 고리대금업자에서 은행가로&gt;(이학사, 1998) 476년 로마제국 멸망 이후 5세기 넘도록 유럽에는 상업이 무너지고 도시가 사라졌다. 경제는 물물교환 수준에 머물렀다. 유럽은 그 후 11세기부터 농업 생산성이 높아.. 2019. 3. 26.
29. 호기심과 예찬 <예찬> 호기심과 예찬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lt;예찬&gt;(현대문학, 2000) 프랑스 작가 미셸 투르니에(1924~2016)의 산문집이다. 작가는 호기심이야말로 인간의 근원적인 열정이라고 말한다. 일상에서 겪는 모든 경험이 심드렁해지고 아무런 감흥도 느낄 수 없게 된다면, 스무 살 나이라도 .. 2019.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