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번역

한겨레 [유레카] '번역청 설립' 국민청원

by 안티고네 2018. 2. 14.

http://v.media.daum.net/v/20180213232604890

한겨레

[유레카] '번역청 설립국민청원 최원형

입력 2018.02.13. 23:26

 


[한겨레지난 7청와대 누리집 게시판에 올라와 있던 한 국민청원이 한달 동안의 기한을 맞아 종료됐다제목은 번역청을 설립하라’. 청원을 제기한 박상익 우석대 교수(역사교육)는 <번역청을 설립하라>(유유)는 책도 펴냈는데앞뒤 표지에 국민청원 내용 전문을 실었다.

 

전세계의 정보와 지식을 우리 말글로 옮기는 것은 도로항만철도통신 등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것이며이를 시장에 맡겨둬선 안 되니 나라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지원해야 한다는 게 박 교수의 핵심 주장이다애초 20만명의 참여를 기대했지만애석하게도 청원 종료 시점의 참여 인원은 1만명도 채 못 되는 9417명에 그쳤다.

 

박 교수의 비유대로 번역은 인문학의 뿌리를 튼튼하게 만드는 작업이다때문에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국민청원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을 마련하라는 요구와 일맥상통한다조선시대 세종과 정조는 각각 집현전과 규장각을 통해 국가가 주도하는 학술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범적인 선례를 보였다그러나 권력자들은 교육과 학문을 통제의 대상 또는 지배의 도구로 삼았을 뿐 학술정책에는 무관심했다신자유주의의 거센 물결은 여기에 시장의 논리까지 들여왔다열악한 번역 인프라뿐 아니라인문·사회 분야에 대한 쥐꼬리만한 지원생계마저 불확실한 비정규직 연구자들의 양산논문 게재 실적에만 목매는 대학 등 오늘날 피폐한 현실은 학술정책의 오랜 부재가 낳은 필연적인 결과들이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누가 무엇을 할 수 있느냐다고등교육을 책임진다는 교육부와 대학에 무언가를 기대하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번역청 설립’ 국민청원은촛불로 탄생한 정부가 제대로 된 학술정책의 밑그림을 제시해야 한다고 정면으로 지목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청와대는 과연 어떤 답변을 내놓을 것인가

최원형 책지성팀 기자 circle@hani.co.kr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국민청원에는 

애초 목표였던 20만명에 훨씬 못 미치는 9000여명만이 참여했으나,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청와대 누리집 갈무리. 


박상익 교수가 쓴 ‘번역청을 설립하라’ 책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