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교신 선생

김교신강연회 2016년 4월 16일

by 안티고네 2016. 2. 29.

김교신 강연회

 

주제

2016, 한국사회 김교신을 다시 생각하다.

일시

2016416() 14 - 17

장소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 763-9746

 

구분

시간

내 용

인사말

14:00-14:10

기념사업회 회장 및 유족대표

 

 

기념

강연회

14:10-15:00

(1) 강연 : 해방 후 한국 무교회주의자들의 공동체 구상

김건우 교수 (대전대학교)

15:00-15:40

(2) 강연 : ‘김교신 일기의 사회사

김철웅 선생 (무교회)

15:40-15:50

휴식시간

15:50-16:30

(3) 강연 : 김교신의 기독신앙, 초월적 역사의식

백소영 교수 (이화여대)

16:30-17:00

(4) 종합토론 (사회 전인수 교수)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는 20141128일 김교신 선생의 정신과 사상을 계승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창립되었습니다. 작년 425일과 26일 양일에 걸쳐 김교신선생 서거 70주년 기념학술대회 및 강연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그리고 김교신 선생을 대중화시키기 위해 강좌를 개최하고 잡지나 언론을 통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동안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김교신 일보를 번역하여 출판을 준비하고 있으며, 김교신 선생에 대한 모든 자료를 모아 정본화하는 작업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에서는 제22016년 정기 강연회와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주제는 “2016, 한국사회 김교신을 다시 생각한다입니다. 강연회는 김교신 선생에 대한 외연을 확대하기 위해 기독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문학 전문가를 초청하였습니다. 특히 김건우 교수는 김교신 선생 사후 그의 제자들이 걸었던 두 공동체를 추적하여 이들이 김교신의 사상의 줄기 중 어느 쪽을 계승하려 했는지, 그 과정과 결과는 어땠는지를 한국사회 전반에 비추어 고찰해 주셨습니다.

김철웅 선생은 무교회주의자로서 김교신 일기에 나타난 몇 가지 사건을 미시사적으로 고찰하여 당시 한국사회의 사회상을 드러내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백소영 교수는 일제시대 친일하지 않고 민족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었던 김교신의 역사인식의 토대가 무엇이었는지 추적하였습니다.

학술대회는 1111() ‘김교신과 교육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일제 강점기 살아있는 민족교육을 실시했던 교육자로서의 김교신을 살펴봅니다. 이를 위해 두 명의 교육 전문가를 초청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나중에 구체적으로 보도 자료를 보내도록 하겠습니다.